혹시 지난 팬데믹 기간, 정부나 지자체에서 소상공인 지원 정책을 발표했을 때 ‘나는 왜 대상이 아닐까?’, ‘분명 조건에 맞는데 왜 신청조차 못 해봤지?’ 하고 고개를 갸웃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혹은 주변에서 그런 안타까운 사례를 접한 적은 없으신가요? 중소기업 지원 정책의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데는 생각보다 복잡하고도 허술한 이유가 있었습니다. 오늘 이 글을 통해 그 숨겨진 진실을 파헤치고, 앞으로 우리 경제의 중요한 축인 중소기업 과 소상공인 을 위한 정책이 어떻게 더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혹시 나도 놓쳤을까? 과거의 뼈아픈 교훈
2022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모두가 힘겨워할 때, 각 지자체는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 대출 보증과 이자 지원 정책을 쏟아냈습니다. 총 1조 6천억 원이 넘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었죠. 하지만 놀랍게도, 혜택을 받을 수 있었던 25만 명 이상의 소상공인들이 정작 지원을 받지 못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감사원 조사 결과, 일부 지자체의 소극 행정 과 실태 조사 미흡으로 인해 발생한 지원 누락 이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행정 편의주의를 넘어, 정확한 중소기업 통계 와 현황 파악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뼈아픈 교훈입니다.
2. 830만 중소기업 통계, 단 3명이 담당한다고?
우리나라에는 무려 830만 개 에 달하는 중소기업이 존재합니다. 이 거대한 경제 주체들의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국가 경제 정책 수립의 가장 기본 중의 기본이죠. 그런데 이 방대한 중소기업 통계 를 단 3명의 인력(박사급 1명, 석사급 2명)이 전담하고 있다는 사실, 믿어지시나요? 마치 거대한 빙산을 젓가락으로 옮기는 것과 같은 상황입니다. 게다가 관련 예산은 수년째 예산 동결 상태라고 하니, 통계의 정확성과 시의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여실히 드러납니다.
3. 20개월의 시차: 과거 데이터로 미래를 예측하는 아이러니
더 큰 문제는 바로 데이터 시차 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매년 8월에 발표하는 '중소기업기본통계'는 실제 현황보다 무려 20개월 이나 늦은 데이터를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8월에 발표된 통계는 2023년 12월의 현실을 보여주는 셈이죠. 급변하는 경제 상황 속에서 20개월 전의 정보로 현재와 미래의 정책을 수립한다는 것은, 마치 20개월 전의 날씨 예보로 오늘 우산을 챙기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현실과 동떨어진 통계 지연 은 정책 효율성 을 크게 저해할 수밖에 없습니다.
4. 부족한 통계, 민간 데이터로 메우는 현실
정확하고 시의성 있는 중소기업 통계 가 부족하다 보니, 정부는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민간 기업으로부터 데이터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NICE평가정보, 한국신용데이터, 각종 카드사 등에서 166종류에 달하는 민간 데이터 구매 에 지난 5년간 무려 75억 원 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었습니다. 물론 민간 데이터 활용도 중요하지만, 자체적인 통계 역량 강화 없이 외부 데이터에만 의존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이는 결국 예산 부족 과 통계 인력 의 한계가 낳은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핵심 요약:
- 중소기업 통계 는 단 3명의 인력으로 830만 개 기업을 담당하며, 예산은 수년째 동결 상태입니다.
- 주요 중소기업 통계 는 현실보다 20개월 이나 늦은 데이터를 반영하여 정책 효율성 을 저해합니다.
- 부족한 통계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지난 5년간 75억 원 규모의 민간 데이터 구매 가 이루어졌습니다.
오늘 우리는 중소기업 통계 의 숨겨진 문제점들을 살펴보았습니다. 830만 중소기업 과 소상공인 의 생존과 성장이 우리 경제의 활력과 직결되는 만큼, 정확하고 시의성 있는 데이터는 필수적입니다. 통계 인력 확충과 예산 증액, 그리고 자체적인 데이터 구축 노력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입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미래의 위기 상황에서도 모든 기업이 적절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튼튼한 시스템이 구축되기를 기대합니다. 우리 모두의 관심이 더 나은 중소기업 지원 정책을 만드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댓글 없음: